레딧 아바타 NFT 거래량이 254만 달러를 기록하면서 역대 최고 기록을 경신했습니다.
이는 누적 거래량 601만 달러의 42%에 달하며 정말 핫한 이슈임을 알 수 있습니다.
위의 표는 지난 게시물에서 소개해드렸던 NFT 분석 사이트 DUNE에 게시된 보고서입니다.
(DUNE에 대해 알고 싶으신 분은 링크를 확인해주세요)
아바타에 대한 뜨거운 관심은 레딧의 지갑 생성으로 이어졌습니다.
레딧에서 NFT를 보유한 지갑 수가 무려 280만개에 이르렀습니다. 이는 오픈씨의 230만개보다 50만개나 많은 수치입니다.
(오픈씨의 230만개는 1회 이상 거래가 이루어진 지갑 기준입니다)
레딧에서 흥한 이유
- 무료 제공
- No 암호화폐
- 아바타
레딧은 자격을 갖춘 사용자에게 아바타 NFT 를 무료로 제공했습니다.
무료 제공은 사용자에게 NFT에 대한 허들을 낮추고 호기심을 불러 일으켰습니다.
레딧은 암호화폐 지갑이 없어도 신용카드, 직불카드를 통해 NFT를 구매할 수 있었습니다.
사용자들은 블록체인 이용의 경험이 없어도 손쉽게 NFT를 접하게 되었습니다.
레딧은 NFT라는 용어 대신 아바타라는 단어를 썼습니다.
사용자들의 NFT에 대한 무의식적인 거부감을 낮췄습니다.
0.1eth와 같은 낯선 가상화폐가 아닌 달러로 표시하여 직관적인 인식이 가능했습니다.
레딧 NFT의 특징
- 웹앱커뮤니티 기반
- 무료 아바타 제공
- 외부 마켓플레이스 구매
레딧은 전세계에서 가장 큰 웹앱 커뮤니티입니다.
일반적인 블록체인, NFT 기반의 디스코드, 텔레그램 형태의 커뮤니티가 아닌
사용자들에게 익숙한 웹앱 형태의 커뮤니티입니다.
이 커뮤니티 내에서 NFT의 전파 속도는 엄청나게 빠릅니다.
또한 NFT의 쓰임새가 커뮤니티에서 바로 확인할 수 있어 영향력 또한 큽니다.
PFP의 본질인 "희소성" "나만의" "남에게 보여주고 싶은" 모든 욕망을 실현할 수 있습니다.
아바타는 무료로 받을 수도 있습니다.
물론 NFT로 구매하는 것과는 퀄리티의 차이가 있지만 기본적인 스킨을 제공하여
아바타 NFT로 더 쉽게 접근할 수 있습니다.
아바타 NFT는 외부 마켓 플레이스에서도 구매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레딧에서 구매하지 못해도 외부 채널을 통해 아바타를 구매할 기회를 갖게 됩니다.
어떤 유저의 레딧 NFT 보유 목록입니다.
레딧 아바타의 종류
레딧플로어에서 아바타를 한눈에 볼 수 있습니다.
바닥가, 최근 거래가격, 아티스트팀, 히스토리 등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레딧 아바타의 의의
개인적으로는 NFT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고 봅니다.
물론 제가 알지 못하는 어떤 커뮤니티에서 동일한 시도를 했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거대한 회원수를 갖고 있는 레딧만이 성공할 수 있었습니다.
레딧 아바타는 PFP와 커뮤니티의 결합으로 만들 수 있는 최상의 결과입니다.
저는 이 결과가 두 가지 놀라운 장점을 바탕으로 이루어졌다고 생각합니다.
첫 째로 초대형 커뮤니티 내에서 통용되는 PFP이면서 디지털 세계 내의 거래 가능한 소유권을 NFT를 직접 경험할 수 있습니다. 즉, 어색한 NFT 경험을 기존에 이용하던 커뮤니티를 통해 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둘째로 수집한 아바타를 수시로 변경할 수 있습니다. 기존의 NFT는 판매할 때까지 어디에도 쓸모가 없었습니다.
그러나 레딧에서는 환경에 따라, 기분에 따라 변경하며 구매한 아바타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수 년 동안의 준비를 통해 사용자들을 블록체인의 세계로 자연스럽게 유도한 레딧에게 찬사를 보냅니다.
# 출처
1. 레딧 NFT 듄 분석
https://dune.com/polygon_analytics/reddit-collectible-avatars
2. 레딧 지갑 수
3. 레딧플로어
4. 레딧 아바타
'Blockchain > NF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월드컵 결승전과 아르헨티나 NFT 가격의 변동 (0) | 2022.12.19 |
---|---|
주목할만한 음악 NFT 사이트 (0) | 2022.12.05 |
요즘 떠오르는 앱토스 생태계, NFT 보는 사이트는? (0) | 2022.10.24 |
NFT 거래량 2022년 초 대비 99.95% 감소 (0) | 2022.09.30 |
바닥가 급상승한 퍼지펭귄 NFT (0) | 2022.08.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