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lockchain/NFT

2022년 NFT 이슈의 순간

암호화폐 뉴스사이트인 디크립트(Decrypt)에서 2022년 이슈의 순간을 선정했습니다.

출처 : https://decrypt.co/116588/

 

https://decrypt.co/116588/biggest-nft-stories-2022

 


2022년 NFT 이슈의 순간

 

1. 버드 라이트와 슈퍼볼

 

미국의 미식축구 NFL의 결승전 슈퍼볼(Super Bowl)에서 세계적인 맥주회사 버드 라이트 (Bud Light)가

중간 광고에 Nouns NFT의 이미지를 넣었습니다.

(슈퍼볼의 하프타임 TV 광고비는 30초당 700만 달러, 약 84억원에 이릅니다)

 

 

 

 

2. 크립토펑크의 판매가

2022년 2월 크립토펑크(CryptoPunks)의 단일 최고 판매가는 2,400만 달러였습니다. (이더스캔)

2021년 3월 Beeple의 6,900만 달러에는 미치지 못했지만 크립토펑크의 기존 기록인 1,180만 달러의 두 배를 기록했습니다.

https://opensea.io/assets/ethereum/0xb47e3cd837ddf8e4c57f05d70ab865de6e193bbb/5822

 

 

3. 픽셀몬(Pixelmon)의 잘못된 공개

콜렉터들이 픽셀몬을 구매한 이후 게임 내 픽셀몬 아트워크가 공개되었습니다.

그 퀄리티는 심각하게 나빴습니다.

창립자조차도 "끔찍한 실수"라고 인정했습니다.

 

 

 

4. BAYC의 크립토펑크 구매

BAYC의 창시자 유가랩스(Yuga Labs)가 라바랩스(Larva Labs)로부터 크립토펑크(CryptoPunks) IP와 미빗츠(Meebits) 아바타 IP를 인수했습니다.

최근 Yuga는 크립토펑크와 미빗츠 NFT 홀더에게 IP 상용화 권한을 부여했습니다.

 

 

 

5. ApeCoin의 출시

BAYC는 3월 메타버스 용으로 구축된 이더리움 기반 토큰 ApeCoin을 출시했습니다.

이에 BAYC, MAYC 홀더는 큰 돈을 벌 수 있었습니다.

ApeCoin의 가격은 크립토윈터가 찾아온 후 85% 가량 하락했습니다.

https://public.bnbstatic.com/static/academy/uploads-original/e639b36e71de47a6abfaa35a249a393f.png

 

 

6. 액시 인피니티(Axie Infinity)의 쇠퇴와 해킹

2021년 가장 큰 NFT 프로젝트였던 P2E 게임 엑시 인피니티는 생태계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고 NFT와 토큰 모두 가격이 급하락했습니다. 그리고 3월 6억 2,200만 달러 상당의 암호화폐 해킹이 있었습니다..

액시 인피니트의 개발자 Sky Mavis는 사용자에게 전액 환불을 하기 위해 1억 5천만 달러의 자본을 모았으며

지금까지 도난당한 자금의 약 10%를 해커로부터 회수했습니다.

 

https://watcher.guru/news/wp-content/uploads/2022/05/Que-paso-en-el-Hack-de-Axie-Infinity-800x450.jpg.webp

 

 

7. 문버드 (Moonbirds)의 비상

유명 Web3 스타트업 프루프(Proof)는 2022년 4월 NFT 컬렉션 문버드(Moonbirds)를 선보였습니다.

문버드는 이틀 만에 2억 8천만 달러 상당의 거래량을 확보했습니다.

프루프는 지난 8월 문버드에 대한 IP 상용화권한을 모든 사람에게 공개했습니다.

 

https://www.coindesk.com/resizer/yNGaijaz2zvtclnXKl9xGgTMxQU=/1056x786/filters:quality(80):format(webp)/cloudfront-us-east-1.images.arcpublishing.com/coindesk/544DYMG5VZA7PEUUE3FDPDSGD4.jpg

 

 

8. Otherside의 런칭

유가랩스(Yuga Labs)가 메타버스 게임 Otherside에 대한 가상 토지 증서를 출시했고 BAYC 홀더는 무료로 암호 자산을 얻을 수 있었습니다. NFT 마켓인 오픈씨 (Opensea)는 4월 이 이벤트로 인해 4억 6,600만 달러의 일일  거래 기록을 세웠습니다.

 

https://img.decrypt.co/insecure/rs:fit:950:0:0:0/plain/https://cdn.decrypt.co/wp-content/uploads/2022/05/opensea-daily-nft-volume-may2.png@webp

 

 

9. NFT 투기 거품의 침몰

2021년 11월 데이터와 2022년 1월 데이터를 비교할 때 거래량은 약 88% 감소하였습니다.

BAYC의 바닥가(Floor Price) 역시 4월 429,000 달러에서 11월 60,000달러 미만으로 떨어졌습니다.

 

 

10. 마인크래프트 NFT 금지 발표

마인크래프트 개발자와 모회사는 서버에서 NFT를 금지하고 기존 게임 자산으로 구축한 파생 프로젝트를 금지할 것이라고 했습니다.

GTA5 역시 NFT를 금지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11. 트위터에서의 스캠

NFT에서 포모 (FOMO)가 커짐에 따라 소셜 미디어 사기가 급증했습니다.

이는 특히 디스코드, 인스타그램보다 트위터에서 많았습니다.

2022년 초 유명인사들의 계정이 도난당하면서 이것이 Otherside와 Azuki 같은 프로젝트에서 사기 링크를 공유하는데 사용되었습니다.

이후에는 Beeple, Nouns 같은 유명 제작자의 계정을 훔치기까지 했습니다.

 

 

12. 솔라나(Solana)의 대장 프로젝트

Solana NFT는 2022년도 이더리움의 강력한 라이벌이 되었습니다.

솔라나의 두 프로젝트 마켓 - 매직에덴(Magic Eden), NFT - 디갓(Degods)은 성공하였으며 매직에덴은 16억 달러의 가치평가를 받았습니다.

 

 

13. BAYC IP의 사용량 확대

NFT 홀더들이 예술, 프로젝트 등에 Ape 이미지를 사용하면서 스토리를 계속 형성하게 되었습니다.

2022년 Snoop Dogg, Eminem의 뮤직비디오, MTV 공연, 음료 브랜드 출시 등이 있었습니다.

 

 

14. 이더리움 병합

이더리움 병합은 시장에서 반감을 불러일으키기도 했지만 NFT 영역에는 상당한 이점을 가져왔습니다.

NFT 블록체인의 자원 집약적인 채굴은 제거되어 이전보다 99% 이상 에너지를 덜 소비하며 친경적인 네트워크가 되었습니다.

 

 

15. 대형 브랜드의 NFT 용 Polygon 선택

Web3 에 진입하려는 주요 브랜드들이 Polygon 체인을 선택했습니다.

이 브랜드들은 스타벅스, 메타, 나이키, 레딧, 디즈니 등이 있습니다.

레딧의 경우 300만명 이상의 사용자가 NFT를 만들기 위해 Polygon 지갑을 만들었습니다.

 

 

16. 크리에이터 로열티 논란

지난 몇 달 간 NFT에서 가장 뜨거운 이야기는 제작자 로열티에 대한 논쟁입니다.

일부 마켓플레이스는 여름 쯔음부터 제작자 로열티를 무시했으며 Solana의 매직에덴(Magic Eden)은 제작자 로열티를 선택사항으로 만들었습니다.

Opensea는 이를 고려했지만 제작자의 반발로 로열티를 계속 집행하는 것으로 결정했습니다.


디크립트에서의 올해의 NFT 이슈는 이렇게 16가지입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여기서 4개를 더 추가하고 싶습니다.

 

 

17. 레딧(Reddit)과 NFT

전세계에서 가장 큰 소셜 웹사이트 레딧(Reddit)이 Collectible Avatar 라는 NFT를 출시했습니다.

이는 헤비 유저에게 제공되는 무료 아바타입니다.

NFT 아바타는 폴리곤 지갑에서 500만개 이상 만들어졌으며 프리미엄 아바타에 대한 가격, 거래가 급증하여 2차 시장 판매가 발생했습니다.

비록 투기 거품은 한 달여만에 가라앉았지만 레딧은 Web2 플랫폼이 Web3 기술을 채택하여 흥미를 이끌어내는 방법을 제시했습니다.

 

https://www.redditinc.com/blog/blockchain-backed-collectible-avatars-coming-to-reddit-via-new-storefront

한국 최대의 웹커뮤니티 디시인사이드(dcinside)도 12월 26일 개죽이NFT를 발행하여 사용자에게 무료로 지급했습니다.

 

https://event.dcinside.com/view/?no=572&page=

 

18. FTX의 몰락과 Solana

FTX 거래소가 몰락하면서 솔라나 (Sol)의 가격이 하락했습니다.

솔라나의 가격은 2년만에 $10 아래로 떨어졌습니다.

이에 솔라나 NFT 프로젝트들도 영향을 받았으며 디갓(Degods) 프로젝트는 이더리움으로 마이그레이션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디갓 NFT는 마이그레이션 공지 후 가격이 급등했습니다.

 

 

 

19. 국내 NFT들의 몰락, 클레이튼의 위기

한국에서 NFT 업계를 선도하던 "메타콩즈" 프로젝트의 경영진 싸움으로 K-NFT 에 먹구름이 끼기 시작했습니다.

메타콩즈 외에도 소프트 러그풀로 홀더, 개인투자자들의 원성을 사는 프로젝트가 많아졌습니다.

안그래도 K-NFT는 안하는 것이 정답이다라는 이야기가 농담이 아닌 정설이 되어가고 있습니다.

 

https://themetakongz.com/

 

클레이튼의 많은 프로젝트들이 크립토 윈터를 버티지 못하고 있습니다.

일부는 망했으며 일부는 러그풀을 했고 또 일부는 마이그레이션 했습니다.

클레이튼의 대표적인 프로젝트인 "클레이시티"는 거버넌스 투표를 통해 폴리곤으로 마이그레이션하면서 프로젝트 명을 "오브시티" 로 변경했습니다.

 

https://www.klaytn.foundation/

 

20. 퍼지 펭귄(Pudgy Penguins)의 재도약

퍼지 펭귄은 크립토 윈터인 이 기간에도 바닥가 (Floor Price)가 계속 상승했습니다.

바닥가가 7Eth를 기록하면서 사상 최고가를 기록하게 되었습니다.

 

https://media.pudgypenguins.com/

퍼지 펭귄은 22년도 초에 잘못된 운영(로드맵 미이행, 사기 전력 등)으로 판매가는 물론 거래량도 줄어들었습니다.

이에 홀더들은 투표로 운영진을 교체하였습니다.

2022년 4월 루카 넷츠(Luca Netz)가 750Eth에 퍼지 펭귄 프로젝트를 구매하였고 실물 장난감 업체와의 계약, 이벤트 주최, 소더비 진출, 켈로그 시리얼 등 다양한 활동을 통해 IP 가치를 높였습니다.

 

운영의 차이가 프로젝트의 가치를 결정한다는 것을 확실하게 보여주는 사례입니다.

 


 

올해는 NFT 업계가 크립토윈터와 함께 다사다난했던 한 해였습니다.

부나방, 거품과도 같은 프로젝트들은 사그라들었으며 대기업 브랜드, 고가치 느프트, 확실한 운영으로 커뮤니티를 이끄는 프로젝트들만 살아남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2023년에는 실제 홀더들에게 도움이 되고 더 유용한 NFT가 대거 나오지 않을까 싶습니다.

(크립토가 다시 살아난다면 다시 버블이 일어날 수도 있겠습니다)